풀노래
영각수의 집합 신호에 따라 농악대가 잠시 동안 '캥자 캥자 캥자 캐캥' 4장단에 맞추어 흥겹게 농악을 울린다.
- 이 사이에 남녀 농청원들은 놀이마당의 입구에 행렬을 지어 선다. 행렬의 맨 앞에는 동,서부 농청기, 농기 등을 앞세우고 영각, 호적, 꽹과리, 징, 장고, 북 등을 각각 1개씩 든 농악대가 그 뒤에 선다. 그러나 호적은 원래의 농청 농악에는 없었던 것이 뒤에 첨가된 듯 하다.
본문
이어 정자관을 쓴 양반이 삭가래를 들고 따르고 그 뒤에는 검정소를 모는 소몰이, 쟁기(훌찡이)를 지게에 진 농부, 누렁소를 모는 소몰이, 써레를 지게에 진 농부 등의 순으로 벌여 선다. 그 뒤로는 가래를 어깨에 짊어진 목가래꾼과 줄가래꾼(쫑가래꾼)들이 따르는데 가래는 모두 4개이다. 가래 1개 당 목가래꾼 1명, 줄가래꾼 2명 등 3명씩 붙어 가래꾼의 총 인원수는 도합 12명이 되는 셈이다.
농청원들의 뒤에는 내방청원인 부인들이 뒤따른다. 이들은 모두 15~16명 정도인데 이 가운데는 술동이를 이고 있는 사람과 함지박(찬반팅이)을 이고 있는 사람이 각각 한사람씩 포함된다. 함지박을 이고 있는 사람 옆에는 6~7세 되는 여자아이가 누덕누덕 기운 검은 치마와 흰 저고리를 입고 따른다. 그리고, 행렬의 맨 끝 부분에는 도리깨, 풍석, 자루바가지(자래바가치), 대빗자루, 갈쿠리, 밀개, 대소쿠리, 키(챙이) 등 여러 가지 농기구를 바지게에 짊어진 농청원 한 사람이 뒤따른다.
이렇게 정렬을 한 후 일동이 모든 동작을 멈춘 채 서 있는 동안 농악소리가 그치면 먼저 풀베기소리를 부른다.
㉮ 곤달비야 | 곤달비야~ | 잘매산 | 곤달비야~ |
톳곡산을 | 넘지마라~ | ||
까마구야 | 까마구야~ | 잘매산 | 갈까마구야~ |
은재놋재 | 단재수재 | 단단히 | 가리물고~ |
굵은솔밭 | 지내가이 | 잔솔밭을 | 자라드네~ |
㉯ 에~ | |||
딸아딸아 | 내딸봉덕아 | 어데로갔나~ | |
열아홉살묵는 | 과부가~ | 스물아홉살묵는 | 딸을잃고 |
잘매산 모퉁이를 | 돌아가면서 | 내딸봉덕아 | 어데로갔나~ |
이후후후후~ | |||
㉰ 에~ | |||
딸아딸아 | 내딸봉덕아 | 어데로갔나~ | |
열아홉살묵는 | 과부가~ | 스물아홉살묵는 | 딸을잃고 |
딸찾으러 | 올러간다~ | ||
올러가다 | 올러가다~ | 공달패기 | 미끄러져서~ |
아파도울고 | 섧어도울고~ | 내딸봉덕아 | 어데로갔나~ |
이후후후후~ |